본문바로가기
  • BUSINESS
  • PRODUCT
  • CUSTOMER
  • COMMUNITY

제 목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이슈 분석
등록일 2022-04-20
첨부파일




<사진 출처 : www.freepik.com>


Ⅰ AI 중심사회의 도래

■ 코로나-19로 촉발된 디지털 대전환은 사회 변화의 핵심동력이 될 전망 대면활동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비대면 시대(언택트)로 진입하며 경제·사회 전반의 분야에서 디지털 대전환이 이루어짐

∙ 재택근무, 유연근무 확대 및 온라인 회의, 스마트워크 등으로 업무·소통 방식을 비대면으로 전환했으며, 제조업의 자동화·지능화 촉진으로 산업계 변화 가속화 ∙ 비대면·비접촉 수요의 급속한 증가로 AI, 클라우드, 네트워크(5G, 6G) 등 ICT 기술과 블록체인, 메타버스, 디지털 트윈 등 ‘융합 ICT 기술’이 빠르게 발전 하는 양상을 보임 2030년 미래사회 전망에서도 ICT 신기술이 융합되어 디지털화되고, 사회변화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

∙ (정치) 디지털 대전환,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안정 등을 위한 국가의 역할이 강화되고, 디지털 기술 중심의 사회에 따른 사이버위협 대응 및 국가안보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중

- 국가 주도 디지털 대전환의 가속화, 디지털 기반의 정치 활동 및 코로나19 이후 전통적인 정부에서 플랫폼 정부로의 전환 등 공공·행정 분야에서의 변화로 정부 역할 강조

- 플랫폼, 디지털 중심의 사회에 따른 온라인, 가상환경 서비스 규제가 완화되고 있지만,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의 중요도가 높아지고, 국가 간 사이버위협이 증가 ∙ (경제) 산업의 디지털화, 비대면 경제의 확대, 가상경제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통적인 산업 구조가 변화하는 등 경제 전반에 디지털화·비대면 상황이 부각

- 코로나19로 인한 배달·온라인 쇼핑 등 비대면 서비스의 성장, 데이터 경제 등장, 최첨단 기술과 융합한 AI 자동 결제, 무인점포 등 새로운 시장 형성 및 수요 증가

- 재택·원격 근무의 증가에 따른 업무환경 변화, 산업의 디지털화, 비대면 자산 운용 등 새로운 형태의 경제활동이 등장하고 있으며, 홈 트레이닝, OTT 등 플랫폼 산업 발달

- 온라인 결제 시스템 확대·성장에 따라 디지털 경제가 발달하고, 데이터 가치가 증대되어 데이터 보호에 대한 관심도 증가

∙ (사회) 언택트 사회로 변화하면서 메타버스를 통한 행사(콘퍼런스, 입학·졸업식 등) 개최, 온라인 문화·예술 공연·스포츠 관람 증가

- 원격 의료, 무인점포, 원격 교육 등 비대면 디지털 환경이 보편화되고, 디지털 경험과 활용 능력의 세대·계층·지역별 차이가 발생함에 따라 사회갈등 심화 및 개인주의 확산

- 전통적인 업무·제조·생산 환경이 변화되고, 원격 근무·교육의 보편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, 관련 기술 성장 및 새로운 서비스 등장·수요 증가 기대

- 코로나19 이후 감염병·질병 확산 등 새로운 위험 대응의 일상화와 위험 예방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·공유 확대, 백신접종 증명 의무화 등에 따른 사생활 침해에 대한 우려 증가

∙ (기술) 의료,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적 솔루션이 등장하였으며, 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요소인 디지털 전환과 결합하여 가속화될 전망

- 비대면 서비스·온라인 생활이 일상화되고, 5G·6G 차세대 네트워크를 활용한 초연결, AI·클라우드 등과 AR/VR 기술이 융합된 메타버스, 디지털 트윈 ‘가상융합기술’ 등장 및 성장 가속화

- 전통적 산업·경제가 ICT 新기술을 활용하여 제조·생산의 자동화, 원격화가 이루어지고,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산업 분야 간 융·복합 확대 등 산업·경제 시스템이 개선되거나 새로운 환경으로 변화

- 자율자동차, 로봇 등 AI를 활용한 기기 보급 및 IoT·클라우드 등 개인 디지털 기기 활용의 증가로 디지털 의존도가 높아져, 이용자 중심의 기기 발전 및 정보보호 기술 관심 증가




<사진 출처 : www.freepik.com>



■ AI 주도의 ICT 패러다임 변화가 예상되고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

Ⅰ 국내ㆍ외 IT 기술 트렌드 전망과 전문가 설문조사에 따르면, 미래사회 변화·발전을 주도할 유망 기술로 AI를 선정

∙ 국내ㆍ외 IT 기술 트렌드 전망에 대한 분석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2030 미래사회 변화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며 중요하다고 전망되는 기술 8가지(AI, IoT, 클라우드, 차세대 네트워크, 빅데이터, 블록체인, 메타버스, 디지털 트윈)를 ICT 8대 유망기술로 선정

∙ 그 중에서 특히, AI 기술은 국내ㆍ외 전망보고서의 모든 자료에서 언급이 될 정도로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가장 대표적인 유망기술로 각광 받는 중

Ⅰ 가트너, IDC 등 시장 조사기관들은 글로벌 AI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을 예측

∙ 가트너, ’22년 AI 소프트웨어 시장 매출을 74조 2,000억 원(전년 대비 +21.3%)으로 전망('21.11.)

- AI SW 중 급성장 분야: 지식관리(8조 4,300억 원), 가상비서(8조 1,500억 원), 자율주행(8조 750억 원) 등

∙ IDC, 전 세계 AI 솔루션 시장 규모가 ’21년 약 400조원에서 ’24년에 약 585조원 돌파 전망('21.8.)

- 향후 5년간 AI 플랫폼이 연평균 33.2%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 주요국은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전략·정책을 발표하고 정부

-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추진 중

Ⅰ 우리 정부도 AI 경쟁력을 선도하기 위한 R&D 예산 확대, 민간 투자 활성화, 전문인력 육성, 스타트업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

∙ 관계부처 합동으로 ‘인공지능 국가전략(National Strategy for Artificial Intelligence)’을 발표 하여 AI 경쟁력 혁신, AI 활용 전면화, 사람 중심의 AI 구현을 목표로 지원 정책 추진(’19.12.)

- (AI 경쟁력 혁신) ① AI 인프라 확충(공공데이터 개방, AI 허브 조성), ② 전략적 기술 개발(AI 반도체 경쟁력 확보, 차세대 AI 연구), ③ 규제 혁신(로드맵 수립, AI 법제도 정립), ④ 스타트업 육성(투자펀드 조성) 추진

- (AI 활용 전면화) ① 인재 양성 국민교육(인재 10만명 양성, ~’25년), ② 전 산업 AI 도입(스마트공장 2천개 보급, ~’30년), ③ 디지털 정부 대전환 추진(전자정부 시스템 진단 및 공공서비스 AI 도입, ’20년)

- (사람 중심의 AI 구현) ① 일자리 안전망 구축(AI·직무 빅데이터 기반 국가 일자리정보플랫폼 고도화), ② 역기능 방지 및 AI 윤리 마련(AI 제품 품질관리체계 마련, OECD AI 권고안에 부합하는 AI 윤리기준 확립)

∙ 4차 산업혁명위원회 출범(’17.11.)이후 D.N.A(Data·Network·AI)기반의 ‘AI R&D 전략(’18.5.)’과 ‘한국판 뉴딜 종합계획(’20.7.)’을 발표

Ⅰ AI 기술은 점차 성숙단계로 진입하여 다양한 산업에 본격 적용되고 있고, 동시에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며 인공지능의 또 다른 기술적 실험도 지속적으로 진행

∙ 가트너 AI기술의 하이퍼사이클을 살펴보면, AI 클라우드 서비스, 딥러닝, 머신러닝, 컴퓨터 비전과 같은 기술들이 앞으로 2년~5년 내에는 상용화 될 예정



<사진 출처 : www.freepik.com>


 

Ⅱ AI 기술의 이해와 현황

■ AI의 개념과 기술의 분류 AI(Artificial Intelligence, 인공지능)란 인간의 지능(인지·추론·학습 등)을 컴퓨터나 시스템 등으로 만든 것 또는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 등을 연구하는 기술·과학을 의미

∙ 초기 AI의 개념은 미국 다트머스(Dartmouth) 학술회의(1956년)에서 존 매카시(John McCarthy)가 “기계를 인간 행동의 지식에서와 같이 행동하게 만드는 것”이라고 제안한 것에서 출발

Ⅲ AI 기술의 보안 이슈

■ AI의 보안위협은 증가 추세로 이에 대한 대응준비도 부족 현재·미래의 AI 보안위협은 프라이버시 침해 등 서비스 이용 부문의 위협이 가장 높으며, AI 서비스의 핵심인 데이터(모델)에 대한 위협도 대비 필요

∙ AI 기술의 대분류를 공급자·이용자로 나누어 중분류로 공급자는 시스템, 기기·인프라, 데이터, 네트워크로 구분하고, 이용자는 서비스 이용에서의 보안 이슈를 도출

- 중분류별로 보안위협을 도출하고, 세분류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해당 보안위협의 현재·미래 위협수준 및 대응준비도를 5점 척도로 평가

∙ 현재·미래 위험도 모두 서비스이용 부문의 보안위협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, 대응준비도 역시 3.05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나, 보통(3점) 수준에 불과 ∙ 데이터 위협의 미래 위험도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나, 대응준비도는 2.40점으로 매우 부족

- (현재 위험도) 서비스이용에 관한 현재 위험도가 3.97점으로 가장 높으며, 네트워크(3.20점), 기기·인프라 (3.17점), 시스템(3.07점), 데이터(2.81점)가 그 뒤를 이음

- (미래 위험도) 여전히 서비스이용의 미래 위험도가 4.22점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지만, 데이터 위험도의 현재·미래 위험도 변화가 0.94점으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임

- (대응준비도) 현재·미래 위험도가 가장 높게 평가된 서비스이용의 대응준비도는 3.05점으로 보통(3점) 수준에 불과하나, 미래 위험도가 크게 증가하는 데이터의 대응 준비도가 2.40점에 그침

∙ 현재·미래 위험도가 가장 높은 AI 서비스 이용 부문에서 발생 가능한 보안위협과, 위험이 대폭 증가하지만 대응준비가 부족한 데이터(모델) 부문의 위협에 대한 보안도 요구됨

​​

<자료 출처 : 한국인터넷 진흥원 KISA Insight>

이 전 다 음
목록